투자/국내주식 [이슈]

위메이드 주가 폭락 원인과 전망은 이렇습니다. (+관련주)

메가트렌드K 2021. 9. 8. 17:54
반응형

최근 미르4로 잘 나가던 위메이드가 금일 13%대의 폭락이 나왔습니다. 잘 나가던 위메이드의 주가가 갑자기 폭락한 원인과 전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메이드는 비트코인(가상화폐) 관련주로 엮어있습니다. 위메이드 외에 다른 관련주들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면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https://artipunk.tistory.com/343 

 

비트코인 관련주 9종목 - 두나무, 빗썸 투자 지분 확인, 가상화폐 테마

금일 비트코인이 6천만원을 깨고 급락이 나오고 있습니다. 최근 비트코인 신고가 기록이나 업비트 가상자산 사업자 신고를 접수 등으로 크게 올랐던 종목들이 우려가 될 수도 있을 겁니다. 그래

artipunk.tistory.com


위메이드는 어떤 기업?

 

위메이드는 게임회사로써 대표적으로 미르의전설, 이카루스 등 MMORPG 장르에 특화된 게임들을 개발해왔고 PC, 모바일 등 다양한 게임들를 세계 각국에 서비스 하고 있습니다.

 

 

위메이드는 비덴트에 투자하여 2대주주의 지위를 가져 주식시장에서는 가상화폐 관련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위메이드가 비덴트에 투자한 것은 게임에 블록체인 기술을 결합하기 위함이었는데, 이번에 출시 된 "미르4"는 블록체인을 접목시켜 NFT와 유틸리티 코인이 적용되어 게임 캐릭터 및 흑철 자원을 코인으로 바꾸고 이를 현금화 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이런 시스템으로 사람들에게 큰 인기를 얻고있어 상당한 관심을 받았고, 주가는 두달 동안 급등하여 신고가를 갱신하고 있습니다.


위메이드 폭락 원인

 

그동안 잘 나가던 위메이드의 주가가 폭락하였습니다. 그 원인은 2가지로 보입니다.

 

(1) 가상화폐 폭락

어제(9월 7일)부터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화폐들이 일제히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가상화폐 시장이 급락을 하는 이유와 전망에 대해서는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면 됩니다.

https://artipunk.tistory.com/344

 

"43K 폭락 정확히 맞췄나?" 비트코인 적중 Plan B (플랜B) 가상화폐 전망

비트코인 및 많은 가상화폐들이 일제히 하락을 하였습니다. 특히 엘살바도르에서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도입한 첫날 10%가 하락한 것입니다. 비트코인 외에 이더리움도 13% 하락을 하는 등 다수

artipunk.tistory.com

 

여튼 가상화폐 폭락으로 '미르4'와 연동된 가상화폐인 위믹스도 역시 가격이 폭락하였습니다. 현재 9월 8일 5시 30분 시간으로 한차례 폭락했다가 다시 반등하면서 위아래로 급격한 변동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위메이드는 가상화폐 관련주이기도 하고, 또한 최근에는 주가도 위믹스와 연동되서 오르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위믹스가 내리면서 위메이드의 주가도 함께 급락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2) 고점 차익실현

두달간 주가가 크게 오르면서 10년 박스권을 돌파하고 급등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너무 오르면서 주가와 이평선들간의 이격도가 많이 벌어졌고 어느정도 조정이 나올 시기에 차익실현욕구와 가상화폐 폭락이 나오면서 주가가 크게 하락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위메이드 주가 전망

위메이드가 금일 폭락을 했지만 그동안 주가가 오른 것을 생각하면 그다지 많이 빠진 것도 아니라고 봅니다. (물론 고점에서 산 사람들은 괴롭겠지만..) 자연스러운 가격 조정이라고 보여지고 향후 추가적인 조정도 더 나올 수 있어보입니다.

 

짧게는 주가가 현재 위치인 10일선에서 반등이 나와 다시 올라갈 수도 있고, 길게는 20일선이 올라올 때까지 기간조정을 거치며 기다렸다가 20일선 근처에서 반등할 수도 있어보입니다.

 

하지만 게임과 블록체인의 결합으로 '게임에서 실제 돈을 벌수 있는 행위'가 미르4에만 한정되지 않을 겁니다. 앞으로 위메이드가 내놓는 또 다른 게임에 적용하여 언제든지 유저들에게 관심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되며, 향후 강력한 주가의 모멘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개인적으로 이런 조정기에 주가를 모아가는 것이 좋지 않나 싶습니다.

 


* 이 글은 투자 권유의 글이 아닙니다. 참고용 정보 포스팅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