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ETF 투자

기술적 분석.2) Kodex 레버리지,인버스 ETF 매매 방법, 하락장에서 수익내는 방법

메가트렌드K 2020. 3. 23. 15:10
반응형

코덱스 레버리지, 인버스 ETF는 지수의 움직임을 기초로 하기때문에 지수의 움직임만 잘 연구한다면 수익을 내기 쉽습니다. 특히 지수는 일반 종목들과 달리 몇가지 나타나는 패턴이 있습니다. 대부분 기관이나 외국인의 수급에 의해 지수의 방향성이 결정되다보니, '이 흐름은 지난번에 봤던 흐름인데' 하는 동일한 패턴들이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원웨이 패턴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원웨이는 반드시 정해진 패턴은 아니지만 한가지 특징은 주로 장 초반부터 나온다는 것입니다. (후반에 나오는 것은 원웨이라기 보다는 급등)

https://artipunk.tistory.com/123

 

기술적 분석.1) Kodex 레버리지,인버스 ETF 로 수익내는 방법 (코덱스 코스닥 레버리지, 인버스)

제가 Kodex 코스닥 레버리지, 인버스를 1년 넘게 연구를 하면서 유의미한 패턴들이 존재함을 알게되었습니다. 이것은 기존의 차트의 기술과 결합하여 누구나 쉽게 수익을 낼 수 있지만, 익숙해지기 전까지는 여러..

artipunk.tistory.com

이번에 볼 패턴은 시장이 하락 후 바닥을 잡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패턴입니다. 그렇지않아도 포스팅을 작성하는 오늘 그런 흐름이 나왔는데 10분차트 위주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한달 전에 나왔던 흐름을 살펴보겠습니다.

보통 바닥을 잡을 때 원웨이로 강력한 상승이 나옵니다. 10분차트 기준으로 거의 120이평선까지 가는 흐름이 보통입니다. 여기서 시세가 강한 경우 다음날 갭이 떠서 추가상승이 나오는 경우가 있지만, 요즘같은 경우 미국증시가 워낙 약세 흐름을 보이다보니 갭하락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갭 하락을 할 때, 그 전날의 저가를 지지하고 다시 올라가는 경우입니다.

이 조건이 성립되려면, 반드시 전날 120이평선 근처까지 강력하게 올라가야 합니다.

 

오늘 장중 10분 차트 흐름입니다.

(1) 전날 강력하게 상승하여, 120 이평선 근처까지 올라갔습니다.

아까와 비슷한 패턴이라면 (2) 오늘 갭하락 하면 장 초반에는 올라갈 것입니다. 물론 장 초반 어디서 매수를 하느냐가 중요하겠지만, 장 초반에 밀리지 않는 것만 확인한다면 어느 곳이든 매수타점이 됩니다.

밑에서 매수를 했다면 어디서 매도를 해야 하느냐...(3) 보통 점심때 한번 매도하고, 원웨이 흐름이 나온다면 다시 올라타면 됩니다.

 

제가 매매한 내역을 보면, 장 시작하자마자 양봉이 나올지 모른다는 기대감에 매수를 했지만, 이내 바닥이 확인되지 않음을 직감하고 일단 매도 후, 다시 바닥잡는 것을 보고 매수를 했습니다.

 

10분 차트로 보면, 5이평선에 올라타는 것을 보고 바닥이 잡혔다고 생각하여 매수하고, 매도는 점심시간에 적당히 올랐을 때 매도를 하였습니다. 이후 원웨이 흐름이 나오나 지켜봤지만 나오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장 후반 매수는 하지 않았습니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이 흐름은 바닥권에서 정말 자주 나오는 패턴입니다. 대게 강력한 원웨이 흐름이 나왔다고 홀딩하는 경우가 많지만, 하락 흐름을 돌리는 상방원웨이가 출현하면, 보통 다음날 되밀리거나 갭하락 해서 출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기때문에 저런 원웨이가 나오면 일단 현금화 시키고, 다음날 다시 갭하락을 잡으면 됩니다.

 

ps. 간혹 시장이 엄청 약세인 경우 초반 더 하락하다가 바닥 잡고 올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꼭 바닥 잡는거 보고 들어가세요~

 

*초보자분들이라면 아래 전자책을 통해 누구나 쉽게 레버리지ETF로 수익을 낼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kmong.com/gig/241535

 

레버리지 ETF로 초보자도 쉽게 수익낼 수 있는 필승법을 알려 드립니다. | 30000원부터 시작 가능

28개 총 작업 개수 완료한 총 평점 4.9점인 메이커ABC의 비즈니스컨설팅, 자산관리·재테크, 주식·투자 서비스를 22개의 리뷰와 함께 확인해 보세요. 비즈니스컨설팅, 자산관리·재테크, 주식·투자

kmong.com

 

 

반응형